로컬의 신, 당신의 마을에도 계신가요? 지역 사회를 살리는 ‘로컬의 신’을 만나보세요. 이 책은 로컬의 신을 통해 한국 사회의 변화와 미래를 엿보고, 우리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함께 살아가는 이웃과 소통하고 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중요한 시대, 로컬의 신의 메시지를 경청해보세요.
도서소개
‘로컬의 신’은 인천 구도심을 중심으로 노포와 협업하며 상권을 부활시킨 ‘개항로프로젝트’의 대표이자 로컬 성공 신화의 주역인 이창길 기획자가 MZ세대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들을 담은 책입니다. 20년 가까이 영국에서부터 제주도, 가평, 부산, 서울, 인천 등 다양한 지역을 경험하고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이끈 이 기획자는 로컬에서 성공하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을 아낌없이 제공합니다. 서비스의 빈틈을 찾아내는 방법, 로컬로 가기 전 고려해야 할 점, 자기만의 시선으로 지역을 분석하는 방법, 로컬에서 부동산 구하는 실전 팁, 연고 없는 로컬에서 창업하는 방법, 크루를 결성하고 협업하는 방법, 카피하지 않고 카피되지 않는 전략, 성공적인 이벤트와 마케팅의 실제 사례, 이웃과 트러블 없이 지내는 방법 등 로컬에서 성공하기 위한 모든 것을 다룹니다. MZ세대에게 유리한 로컬 시대의 특징을 분석하고, 로컬 기획과 도시 재생, 신부족 시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또한, 로컬에서 성공적인 크루를 결성하고 운영하는 방법, 마케팅 전략, 관계 맺기 기술 등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로컬의 신’은 단순히 지역 재생에 대한 책이 아니라, 로컬에서 새로운 삶을 꿈꾸는 모든 청년들에게 필요한 조언과 지침서입니다. 이 책을 통해 로컬에서 성공하는 비법을 배우고,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 보세요.
작가소개
이창길은 ‘로컬의 신’이라는 별명을 가진 로컬 기획 전문가입니다. 그는 영국 유학 시절 민박집을 운영하며 성공을 거둔 후, 한국으로 돌아와 다양한 지역에서 성공적인 로컬 프로젝트를 이끌었습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제주도 독채 펜션 ‘토리코티지’, 부산 ‘브라운핸즈백제’, 인천 ‘개항로프로젝트’ 등이 있습니다. 특히, 개항로프로젝트는 쇠퇴한 인천 구도심을 활성화하여 국내에서 가장 성공적인 지역 재생 사례로 꼽히고 있습니다. 이창길은 단순히 지역을 활성화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의 특성을 살린 독창적인 콘텐츠 개발과 마케팅 전략으로 차별화된 브랜드를 구축하는 데 능숙합니다. 그는 또한, 지역 주민들과의 협업을 통해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창길의 성공 비결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의 장점을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과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 독창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한 브랜드 가치 극대화, 이창길은 자신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책과 강연을 통해 청년들에게 로컬 비즈니스의 가능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그의 저서 ‘로컬의 신 – 서울을 따라 하지 않는다’는 로컬에서 성공하기 위한 전략과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많은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창길은 로컬 시대의 선구자로서, 지역을 활성화하고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의 활발한 활동은 청년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한국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줄거리
아파트가 오래되면 리모델링을 하듯 오래된 도시도 수리가 필요하다. 도시 재생이란 한때 번영했으나 다양한 이유로 쓸모를 잃어버린 도시에 문화적인 콘텐츠를 채워 다시 일으키고자 하는 움직임을 말한다. 미국 뉴욕의 브루클린, 영국의 템스강 주변, 일본의 요코하마 등이 대표적인 도시 재생 성공 사례로 꼽힌다. 영국은 세계 최초로 산업 혁명을 일으킨 나라다. 도시가 산업화하면서 종교를 향한 관심이 낮아졌고, 런던 이스트 엔드에 있는 화이트채플 교회는 쓸모를 다했다. 산업 혁명 시대와 빅토리아 시대 때는 매춘과 범죄의 산실이었고, 이후 런던 빈민가의 사회적 문제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곳이었다. 그러는 사이 웨스트 엔드에는 세계의 부가 쌓였고 문화와 예술이 꽃피웠다. 문화 시설이 런던 중심가에 집중되자 소외된 이스트 엔드를 살리기 위해 공공 미술관 건립 프로젝트가 진행됐고, 1901년 화이트채플 교회가 있던 자리에 화이트채플 미술관이 문을 열었다. 시대가 변하면서 역할을 다한 교회 건물이 건물 재생을 통해 미술관으로 거듭난 것이다. 산업 혁명의 중심이던 템스강 주변도 마찬가지다. 세계 각지로부터 다양한 물류를 실은 배들이 템스강을 통해 런던으로 들어왔다. 강변에는 수많은 공장과 물류 창고가 우후죽순으로 세워졌다. 하지만 기술 혁신으로 런던의 풍경이 달라졌다. 물류의 중심에 기차와 자동차가 등장했고, 템스강 주변의 공장과 창고 는 문을 닫았다. 런던 시내에 전기를 공급하던 뱅크사이드 화력 발전소도 유가 상승과 생산 효율 저하, 공해 문제 등으로 가동을 멈췄다. 그러자 그 주변은 우범 지대로 변해 갔다. 밀뱅크 교도소 부지에 국립 영국미술관을 세운 테이트 재단이 나섰다. 그리고 화력 발전소의 외관은 최대한 보존한 채 내부만 미술관에 맞게 변형해 테이트 모던으로 변신시켰다.